“공공은 거들 뿐 … 주민중심 재개발 위해 힘쓰겠다”

불과 5개월이라는 짧은 시간에 67.3%에 달하는 ‘정비구역 지정을 위한 정비계획입안 동의서’를 확보한 거여새마을구역이지만, 그 과정이 결코 쉬웠던 것은 아니다. 많은 구역들과 마찬가지로 거여새마을구역 또한 공공재개발사업에 대한 갑론을박이 있었기 때문이다. 공공재개발사업에 반대하는 이들은 주로 공공에 대한 불신과 함께 사업의 주인공이 돼야할 주민들이 주변인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불안감과 향후 새롭게 조성될 단지가 하향 평준화될 것이라는 걱정 등을 내비췄는데, 이는 거여새마을구역 ‘주민봉사단’의 다양한 노력으로 극복할 수 있었다. 그리고 그 중심엔 주민봉사단을 이끌고 있는 이정우 위원장이 있다.

당초 (가칭)거여새마을구역 공공재개발 준비위원회를 이끌었던 이정우 위원장은 공공재개발사업에 대한 설왕설래가 이어지자 지난해 10월, 빠른 사업추진을 염원하는 주민들과 함께 봉사단을 구성했다. 이후 구역 지정을 위한 동의서 징구에 앞장서면서 주민들에게 공공재개발사업에 대한 정확한 사실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했다. 4차례에 걸쳐 주민들이 우려하고 있는 부분에 대해 설명하는 안내문을 전달하고, 지난해 공시가격을 바탕으로 보정율과 비례율을 적용해 개별종전자산을 추정, 분담금을 계산한 소유자별 맞춤형 안내문까지 개개인에게 전달했으니, 주민들로서는 공공재개발사업에 대해 정확히 알고 의사결정을 내리기에 충분했을 터다. 특히, 그와 봉사단은 공공재개발사업과 관련해 주민들이 불안해하는 부분을 공공(LH)에 전달하고, 사실에 입각한 정확한 설명을 요구해 LH가 ‘거여새마을구역 공공재개발사업 Q&A 모음집’을 발간해 주민들에게 설명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기도 했다. 해당 모음집에는 ▲시공자 및 브랜드 선정 ▲내‧외부 마감재 수준 ▲임대주택 비율 ▲용적률 ▲주민 의견 반영 ▲분양가 ▲사업추진 속도 등에 대한 LH의 설명이 담겼다.

이정우 위원장은 “무엇보다 66%에 달하는 주택이 1종 일반주거지역으로 묶여 있는 구역의 현 상황을 감안하면, 각종 인센티브가 주어지는 공공재개발만이 활로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했다”면서 “이에 주민들이 사실에 입각해 공공재개발사업을 제대로 바라볼 수 있도록 힘쓰는 한편, 동의서를 제출하겠다는 주민이 있다면 전국 어디든 방문하는 등 봉사단원들과 함께 노력해 5개월만에 동의율을 확보하는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고 말한다.

“앞으로 270% 이상의 용적률을 확보하고 35층 이상의 층고, 20% 이하의 건폐율 등으로 쾌적한 생활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또, 임대주택 대형화를 바탕으로 한 임대가구수 축소, 특별건축구역 지정, 우수디자인 적용 등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가치 있는 아파트가 조성될 수 있도록 매진할 것입니다. 다만 이는 저 혼자만의 노력이 아닌, 주민 모두가 함께 할 때 가능한 일인 만큼 앞으로도 적극적으로 사업에 참여해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사업명칭이 ‘공공재개발’이긴 하지만, 속내를 들여다보면 사실 공공이 시행하는 민간재개발사업으로 진행되는 만큼 성공적인 사업진행을 위해선 공공의 행정적인 도움 속에서 주민들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적극적인 참여를 강조하는 이정우 위원장의 말에서 거여새마을구역 재개발사업에 대한 깊은 애정이 느껴진다.

저작권자 © 주거환경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