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단계 재개발사업 속속 본궤도 올라 … 2030 정비기본계획 고시 ‘임박’

열악한 주거환경의 대명사였던 성남 구시가지가 빠른 속도로 환골탈태하고 있다.

성남 구시가지는 1970년대 서울시가 급속도로 개발됨에 따라 철거민들의 이주지로 조성됐던 곳이다. 어느덧 50년에 가까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노후주택이 밀집된 재건축․재개발사업이 시급한 지역이다. 열악한 주거환경으로 인해 적지 않은 사회문제가 일어나지만 교통과 서울 근접성 등의 잠재력은 향후 주거지역으로 뛰어난 여건을 지닌 곳이다.

2009년 순조롭게 진행되던 정비사업은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해 갑작스럽게 침체기로 접어들게 됐다. 부동산시장의 급격한 위축과 함께 예상보다 많은 추가 부담금 등으로 인해 사업추진을 위한 동력을 상실했기 때문이었다. 더군다나 사업시행자인 LH공사의 부채 증가로 인해 한동안 제자리걸음을 해야만 했다.

 

∥성남 구시가지 재개발 본격 추진

재개발사업이 다시 시동을 건 것은 대략 2015년부터다. 시에서 재개발사업의 빠른 추진을 위해 용적률 상향, 기반시설 설치비 지원과 함께 지원대책으로 미분양주택 발생시 인수물량을 확대하는 방안을 제시하며 점차 살아나기 시작했다.

현재 성남 구시가지를 중심으로 총 25개 구역이 3단계로 나눠 재개발·재건축이 추진 중이다. 개발이 모두 완료되면 3~4만세대가 신축돼 소규모 신도시를 건설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현재 활발하게 진행되는 곳은 2단계 사업구역인 금광1구역, 중1구역, 신흥2구역이 손꼽힌다. 최근에 사업시행인가를 받은 산성구역과 중1도시환경정비구역도 눈에 띈다.

대림산업이 시공을 맡은 금광1구역은 2단계 사업구역의 첫 번째 주자로서 이 달에 일반분양에 나선다. 금광동 34번지 일대를 재개발하는 금광1구역은 최고 29층 아파트 39개동 5320세대를 건립한다.

이 중 전용면적 51㎡형 161세대, 59㎡형 771세대, 74㎡형 890세대, 84㎡형 507세대 등 2329세대를 일반분양한다. 지하철 8호선 단대오거리역을 도보로 이용 가능하며, 앞으로 위례신사선까지 개통할 경우 대중교통여건은 더욱 좋아질 전망이다.

중원구 중앙동 3558번지 일대에 위치한 중1구역은 또한 이 달 분양에 나선다. 최고 27층 아파트 23개동 전용면적 39~84㎡ 총 2411가구로 건립되며 이 중 1000가구가 일반에 공급된다. 성남 원도심 일대는 경사지가 대부분이지만 중1구역은 평지에 조성되는 장점을 지녔다. 산성로를 통해 외곽순환도로와 분당수서고속도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지하철 8호선 신흥역이 500m 거리에 위치한다. 시공사는 코오롱글로벌.

수정구 신흥동 1132번지 일대에 위치한 신흥2구역은 오는 11월 분양을 예정하고 있다. 전체 세대수는 4774가구로 GS건설과 대우건설이 공동으로 시공한다.

 

∥성남시 정비사업 마스터플랜 ‘고시 임박’

성남시가 지난 3월 20일부터 4월 3일까지 15일간 ‘2030 성남시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안’에 대해 주민공람을 실시했다.

정비사업의 마스터플랜이라 할 정비기본계획은 도시정비법 제4조에 의거 10년 단위로 수립, 5년마다 타당성 여부를 검토해 반영된다. 공간적 범위는 성남시 시가화용지 26.9㎢ 규모로, 수정·중원·분당지역을 중심으로 하며 목표연도는 2030년이다. 판교 지역은 제외됐다.

현행 2020정비기본계획상 미추진 예정구역인 10개 구역(신흥1, 신흥3, 태평1, 태평3, 수진1, 중2, 중4, 금광2, 은행1, 상대원3)을 대상으로 한다. 성남시는 “2030정비기본계획에서는 보다 정교한 법적지표를 포함한 정량․정성적 12가지 사회·경제·주민의견 지표를 반영한 단계별계획의 수립기준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기본계획에는 분당지역이 포함돼 새로운 주거지 관리방안을 제시할 전망이다. 야탑, 서현, 구미 등 3개 생활권을 중심으로 생활권내 기반시설 설치확충과 리모델링, 가로주택, 자율주택 등 재생사업을 통한 쾌적한 자족도시 구현을 계획하고 있다.

한편 2030정비기본계획은 기존 2020기본계획과 딜리 성남시와 LH가 시행사로 참여하는 공영개발방식을 채택할 전망이다. 순환재개발로 일컬어지는 공영개발방식은 저소득 세입자의 주거안정과 원주민 재정착을 위해 전면철거 후 사업이 완료될 때까지 LH가 제공하는 공공임대주택으로 이주하게 된다.

사업이 완료되면 원주민이 다시 재정착할 수 있으며, LH가 사업시행을 책임짐에 따라 사업추진시 투명성 확보 및 사업기간의 단축의 모색하고 있다.

2030정비기본계획은 공람공고 이후 시의회 의견청취,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된다.

저작권자 © 주거환경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